■ 고정 IP 설정방법 2가지 (OS 재시작 필수)
1) dhcpcd를 이용한 방법
* /etc/dhcpcd.conf 파일 편집
interface eth0 static ip_address=<IP주소> static netmask=255.255.255.0 static routers=<게이트웨이IP> static domain_name_servers=<DNS주소> |
* dhcpcd 패키지가 없는 경우 다음 명령으로 설치한다.
$ sudo apt install dhcpcd |
2) /etc/netplan/50-cloud-init.yaml를 수정하는 방법
* 파일명은 다양하게 지정이 가능하다.
network: ethernets: eth0: match: name: end0 addresses: - <IP주소>/24 routes: - to: 0.0.0.0/0 via: 192.168.100.1 accept-ra: true dhcp4: no dhcp6: yes dhcp6-overrides: use-dns: false use-domains: true nameservers: addresses: - 168.126.63.1 - 168.126.63.2 |
■ OMV(Open Media Vault)에서 고정 IP 설정방법
네트워크 > 인터페이스 메뉴에서 [연필모양] 아이콘을 클릭한다.
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2번째 방법이 적용된다.
분명 정확하게 적용하였는데 실제로는 변경된 고정IP로 적용되지 않았다.
$ ifconfig |
장치명이 eth0이 아닌 "end0"으로 특이하다. ^^;
다음 명령으로 편집기를 열어서 네트워크 장치명 "eth0" => "end0"으로 변경하고 OS 재시동하여 준다.
$ sudo vi /etc/netplan/20-openmediavault-eth0.yaml # "eth0" => "end0"으로 변경 $ sudo reboot |
■ OMV에서 네트워크 장치명 변경
안타깝게도 네트워크 장치명 관리 UI에서 변경이 동작 하지 않으니 참고 바란다.
'TIP-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접속시 The server time zone value 'KST' is unrecognized 라고 타임존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 (0) | 2018.07.01 |
---|---|
이클립스에서 톰캣사용중 java.lang.OutOfMemoryError: PermGen space 오류 대응방법(Heap메모리문제) (2) | 2016.09.16 |
이클립스와 톰캣에서 SSL(HTTPS) 설정하기 (0) | 2016.08.21 |